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

[학위논문] 19세기 백자 문방구 연구, 곽종우 이 논문은 19세기 백자 문방구에 대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으로, 조선 후기에 활발히 제작되었던 백자 문방구의 제작 배경과 기형 및 기법에서 나타나는 양식적 특징을 심도 있게 분석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된 자료는 문헌 사료, 출토 유물 자료(보고서), 박물관 소장 전세품(도록), 그리고 기존 학술 연구(단행본, 논문)가 있습니다. 해당 논문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전문과 도판, 관련 표는 RISS(https://www.riss.kr/index.do)에서 검색 & 다운받아서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1. 연구목적 조선 후기에는 실용적이면서도 감상의 대상이 되는 백자 문방구의 제작이 매우 활발했음. 현재까지 문방구에 대한 연구는 미진했는데, 연구 한계는 적은 편년자료와.. 2025. 6. 10.
[학위논문] 조선 18세기 후반 청화백자 연구, 강세윤 이 논문은 조선 18세기 후반 청화백자 연구에 대한 명지대 석사학위논문으로, 청화백자의 양식적 특정과 변천과정 그리고 18세기에 나타난 독자적 특징과 미감을 분석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논문에 사용된 자료는 양식, 문양경향, 가마 구조의 변화, 출토유물, 문헌자료입니다. 해당 논문을 간단하게 소개합니다.전문과 도판, 관련 표는 RISS(https://www.riss.kr/index.do)에서 검색 & 다운받아서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1. 연구목적조선 18세기는 문화적 발달, 경제 성장, 사회적 변화가 활발했던 시기로, 청화백자에도 큰 변화가 있었음. 기존 연구는 18세기 전체나 분원리 시기 전체를 다루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18세기 중후반, 즉 1752년 분원리 정착 시점부터 .. 2025. 6. 9.
도자 학위논문 도자 관련 학위논문을 공유합니다. 출처: www.riss.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www.riss.kr 종류·기형강세윤, 「朝鮮 18世紀 後半 靑畵白瓷 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곽종우, 「19세기 백자 문방구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곽희원, 「​朝鮮後期 王室磁器의 銘文과 意味」,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권현미, 「​조선후기 산형(山形)백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구유리, 「조선전기 인화상감자기(印花象嵌瓷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구혜인, 「朝鮮後期 陽刻白瓷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2025. 6. 8.
도자 학술논문 도자 관련 학술논문 리스트를 공유합니다. 검색 키워드: 청자, 분청사기, 백자출처: www.riss.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www.riss.kr NO.저자논문제목학술지Vol.No.학회연도1Dinh Thi Le Huyen15~18세기 베트남의 무역항과 해상교역해양문화재14-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20212Ngo The Bach해외의 북 베트남 무역도자기해양문화재8-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20153강건신谈景德镇落马桥窑址出土的元代白瓷与元青花及相关问题 ——兼论新安沉船出土白瓷아시아 도자문화연구-4국립광주박물관20214강건신고려청자, 조선 청화백자의 경덕진요와의 관계 고찰 -경덕진 송원시기 자기수출과 신안침몰선의 자기 중심으로-동양미술사학3-동양미술사학회2015.. 2025. 6. 8.